"올 여름은 내가 쏜다!" 日 직장인, 천만원 보너스로 '황제 휴가' 예약

니혼게이자이신문이 383개 전 산업 기업의 여름 보너스를 집계한 결과, 평균 지급액은 전년 대비 5.91% 증가한 98만 6233엔(약 932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일본 주요 상장 및 비상장 기업 2293곳 중 응답한 671개사를 대상으로 한 결과다. 특히 반도체 장비업체 디스코는 무려 527만 3020엔(약 4984만원)이라는 역대 최고액을 기록, AI 및 파워반도체 수요 호조에 힘입어 업계 평균의 5배가 넘는 보너스를 지급하며 눈길을 끌었다.
이번 보너스 인상은 상장 대기업들의 사상 최대 실적과 직결된다. 도쿄증권거래소 프라임시장 상장 1072개사의 1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10% 증가한 52조 1352억엔(약 493조원)으로, 이 역시 4년 연속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이익 증가가 임금 및 보너스 인상으로 이어지면서, 대기업의 38.4%가 올해 보너스를 인상했다고 응답했다. 제조업은 평균 101만 8830엔(약 963만원)으로 5.56% 증가했고, 비제조업은 건설, 철도, 외식업의 견인으로 6.72% 늘어난 91만 7909엔(약 868만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이 같은 훈풍을 체감하기 어렵다. 종업원수 300명 미만 중소기업의 여름 보너스는 평균 75만 4044엔(약 713만원)으로 전년 대비 4.15% 증가에 그쳤다. 이는 작년 인상률(7.46%)보다 크게 둔화된 수치로, 인력난과 물가 상승에 따른 '방어적 임금 인상'이 많았던 영향으로 풀이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소득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더 큰 문제는 실질임금의 지속적인 감소다.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실질임금은 전년 대비 2% 감소하며 4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올해 1~3월 개인 소비는 전기 대비 0.1% 증가에 그치는 등 내수 회복은 여전히 더디다. 미즈호 리서치 앤드 테크놀로지의 사카이 사이스케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기본급 인상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며, 향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이 일본 임금 인상 분위기를 꺾을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여름 보너스는 일본 경제의 특정 부문이 강력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하지만, 동시에 광범위한 임금 상승과 소비 진작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엔고와 관세 부담 등 대외 변수까지 겹치면서, 일본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haruopost.com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