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에 투자했다가 3억 세금폭탄... 프리미어리그 스타의 몰락

프리미어리그를 포함해 잉글랜드 4개 디비전과 스코틀랜드 1부를 누빈 공격수 디안 윈다스의 사례는 이 문제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현역 시절 상당한 수입을 올렸던 그는 2009년 은퇴 후 불과 7년 만에 16만 4000파운드(약 3억원)의 세금 청구서와 이혼 합의금으로 파산했다. 윈다스는 "피자 가게에서 누군가 내 얼굴을 알아보고 '파산한 디안 윈다스'라고 말했다"며 "부끄러웠다. 은퇴 자체도 어려운데 파산까지 겪으니 정말 죽을 맛"이라고 토로했다.
이러한 비극은 윈다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데이비드 제임스, 웨스 브라운, 리 헨드리, 에밀 헤스키, 트레버 싱클레어, 숀 라이트-필립스 등 잉글랜드 대표팀을 빛냈던 스타들조차 파산 선고를 받거나 세금 체납으로 법정에 서게 됐다. 디애슬레틱의 분석에 따르면 이들의 공통적인 문제는 세금 체납, 부실한 투자, 이혼, 그리고 과도한 소비 습관이다. 특히 은퇴 후 수입이 급감하는 시점에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심각한 재정 위기를 초래했다.
2017년 U-17 월드컵 잉글랜드 주전 골키퍼였던 커티스 앤더슨은 22세라는 이른 나이에 프로 생활을 접고 현재는 스포츠 재정 전문가로 활동 중이다. 그는 "클럽은 도박이나 음주에 대한 경고는 했지만, 재정 교육은 전무했다"고 지적했다. "처음부터 돈 관리 습관을 들였다면 선수들의 삶은 훨씬 쉬웠을 것"이라며 "28, 29세쯤 돼서야 '무언가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면 너무 늦는 경우가 많다"고 강조했다.
전 리버풀 선수 라이언 바벨의 경험도 유사하다. 그는 "21살에 벤틀리, 25살에 롤스로이스를 샀지만 결국 가장 큰 지출은 생활 방식이었다"며 "고급 여행, 친구들 비용 대납 등 끝이 없었다"고 회고했다. 바벨은 "학교를 일찍 그만두고 축구에 뛰어들었기 때문에 돈을 관리할 지식이 부족했고, 주변 사람들조차 선수의 돈을 자신의 ATM처럼 여긴다"며 "한 번 돈이 끊기면 주변 사람들도 순식간에 사라진다"고 덧붙였다.

윈다스는 현역 시절 영화 투자 사업에 참여했다가 큰 손해를 봤다. 유명 인사들의 이름이 투자자 명단에 있어 신뢰했지만, 수년 후 영국 국세청(HMRC)으로부터 16만 4000파운드의 세금 추징 통보를 받았다. 그는 "나는 평생 소득의 40%를 세금으로 냈다"며 "탈세를 한 게 아니라 나쁜 조언을 받았을 뿐"이라고 항변했다.
웨스 브라운 역시 비슷한 이유로 세무 소송에 휘말렸으며, "큰 돈을 벌 때일수록 '올바른 사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앤더슨은 "세금 구조나 선수 보험, 중개 수수료 등 복잡한 요소들이 세금 코드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 회계사는 이걸 모르고, 5년 뒤 한꺼번에 청구서가 날아오면 결국 큰 타격을 입는다"고 설명했다.
이혼 역시 많은 선수들의 재정을 무너뜨리는 주요 원인이다. 전 잉글랜드 대표 골키퍼 데이비드 제임스는 이혼으로 300만 파운드를 잃었고, 리 헨드리는 부동산 투자 실패와 이혼으로 인한 경제적 고통에 시달리다 우울증과 자살 시도까지 경험했다.
전직 선수 지원 단체 XPro는 "은퇴 후 5년 내에 전직 선수 60%가 파산에 이른다"고 발표했으나, 전문가들은 실제 수치는 10~20% 수준이라고 본다. 그럼에도 프리미어리그에서 주급 10만 파운드를 받던 선수가 몇 년 만에 빈털터리가 되는 현실은 충격적이다.
디애슬레틱은 "결국 해법은 명확하다. 구조적 재정 교육, 조기 개입,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의 도움. 그리고 무엇보다도, 선수 스스로의 책임감과 준비"라며 "언제나 크리스마스는 아니다라는 말을 축구 선수들은 기억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 haruopost.com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