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이 주스’ 두 잔, 고혈압에 효과 만점

 비트 주스가 고혈압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주목을 끌고 있다. 고혈압은 심장병, 뇌졸중, 치매 등 치명적인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만성 질환으로, 특히 고령 인구에게는 적극적인 예방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최근 영국 엑서터대학교 연구진은 비트 뿌리 농축 주스가 노년층의 혈압과 구강 내 미생물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연구는 60~70대 노인 36명과 30세 이하의 성인 3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실험 참가자들은 매일 아침과 저녁으로 비트 농축액 60mL를 섭취했고, 2주간 이 같은 섭취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측정했다. 결과는 노년층 참가자들에게서 뚜렷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 중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혈압의 유의미한 감소였다. 더불어, 참가자들의 구강 내 미생물 구성에서도 건강한 방향으로의 전환이 확인됐다.

 

실제로 노년층 참가자들의 구강 내에서는 나이세리아균의 수가 증가하고, 반대로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프레보텔라균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나이세리아균은 체내에서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전환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유익균이다. 질산염은 자연에서 흔히 발견되는 무기물로, 음식이나 음료를 통해 섭취된 후 체내에서 산화질소로 전환된다. 산화질소는 혈관을 확장시키고 이완시키는 작용을 하며, 혈압을 자연스럽게 조절하는 데 중요한 분자로 작용한다.

 

 

 

반면 프레보텔라균은 잇몸 질환이나 구강 내 염증, 전신성 염증 반응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으며, 이로 인해 혈관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만성적인 구강 내 염증은 전신의 혈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구강 미생물 환경의 개선은 전신 건강과도 직결된다는 점에서 연구진은 주목했다.

 

흥미로운 점은 30세 이하 젊은 참가자들에게서는 이 같은 변화가 거의 감지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혈압 수치에도 큰 변동이 없었고, 구강 내 미생물 조성 역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젊은 층은 체내 산화질소 생성 능력이 상대적으로 잘 유지돼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질산염을 추가 섭취한다고 해도 효과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비트는 대표적인 질산염 함유 식품으로, 적은 양을 섭취해도 혈관 확장 및 혈압 안정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체내 질산염의 아질산염 전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비트와 같은 질산염이 풍부한 식품을 외부에서 보충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아니 반하탈로 교수는 “질산염이 풍부한 식단은 단순히 혈압 조절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반적인 혈관 건강 개선과 노화 지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비트를 싫어하거나 구하기 어려운 경우, 시금치·루콜라·샐러리·케일과 같은 녹색 채소를 통해서도 충분히 대체 가능하다”고 조언했다. 이 같은 식품들 역시 질산염 함량이 높아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해당 연구는 지난 7월 3일 국제 학술지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에 게재되었으며, 자연 성분 기반의 식이요법이 노년층의 만성질환 예방과 건강 증진에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약물 치료에 앞서 식생활 개선을 통한 혈압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고령층의 건강관리 전략에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결국 이번 연구는 비트 주스를 포함한 질산염 기반 식품의 꾸준한 섭취가 단순한 혈압 조절을 넘어 전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사례로, 자연식품 중심의 생활 습관 개선이 미래의 만성질환 예방에 있어 핵심적인 열쇠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다시금 부각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