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것을 지켜라”…짝퉁 음식과의 전면전 선포한 이탈리아, 다음 타깃은?

 파스타의 종주국 이탈리아가 벨기에의 한 식품 기업이 출시한 카르보나라 소스에 국가적인 분노를 표출하며 전면 대응에 나섰다. 단순한 레시피 논쟁을 넘어, 자국의 음식 문화와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프란체스코 롤로브리지다 이탈리아 농업부 장관은 유럽의회에 벨기에 식품기업 델라이즈가 만든 ‘카르보나라’ 소스에 대한 즉각적인 조사를 공식 요청하며 이번 사태를 공론화했다. 그는 이 제품이 이탈리아 음식을 흉내 낸 최악의 모조품이며, 유럽연합(EU) 회원국의 매장에 진열되는 것 자체를 용납할 수 없다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장관까지 직접 나서 이웃 국가의 소스 제품에 격분한 것은, 이탈리아인들에게 음식이 단순한 먹거리가 아닌 자존심과 역사의 문제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번 논란의 핵심은 소스에 사용된 재료였다. 정통 로마식 카르보나라는 돼지 볼살을 소금에 절여 숙성시킨 ‘구안찰레’와 계란 노른자, 양젖으로 만든 ‘페코리노’ 치즈, 그리고 후추만을 사용해 만드는 것이 철칙이다. 하지만 벨기에 기업이 내놓은 제품은 카르보나라라는 이름을 달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핵심 재료인 구안찰레 대신 훈제 판체타(이탈리아식 베이컨)를 사용했다. 롤로브리지다 장관은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판체타를 넣은 것은 논외로 하더라도, 이는 이탈리아 요리의 본질을 훼손하는 행위”라고 지적하며, 음식 비평가들과 국민들의 분노에 불을 지폈다. 결국 논란이 거세지자 해당 제품은 매장에서 철수되었지만, 이탈리아의 상처받은 자존심은 쉽게 가라앉지 않는 모양새다.

 


이탈리아가 이토록 민감하게 반응하는 배경에는 심각한 경제적 피해가 자리 잡고 있다. 이탈리아 최대 농어민협회인 콜디레티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소위 ‘가짜 이탈리아 식료품’으로 인한 연간 피해액은 무려 1200억 유로(약 203조 원)에 달한다. 더욱이 이러한 모조품을 만드는 곳은 대부분 기술력과 자본을 갖춘 선진국 기업이라는 점에서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이들은 이탈리아 국기를 연상시키는 색상을 포장지에 사용하거나 이탈리아의 유명 명소 사진을 교묘하게 삽입해 소비자들이 정식 이탈리아 제품으로 오인하게 만드는 전략을 사용한다. 협회 측은 이번에 문제가 된 벨기에산 소스 역시 이탈리아 국기 색깔을 활용했다며, 이는 명백히 유럽연합 규정을 위반할 소지가 있는 기만행위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카르보나라 사태는 이탈리아 정부가 자국의 전통 요리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상황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는 단순히 하나의 제품에 대한 문제를 넘어, 자국의 식문화 유산을 지키고 그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으려는 이탈리아의 필사적인 노력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엄격한 레시피로 유명한 카르보나라는 이전부터 자주 논란의 중심에 서 왔다. 지난해 미국의 대형 식품기업 하인츠가 Z세대를 겨냥해 출시한 통조림 카르보나라 역시 이탈리아인들의 거센 분노를 산 바 있다. 이처럼 반복되는 ‘음식 문화 침해’에 이탈리아는 더 이상 좌시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메시지를 전 세계에 던지고 있다.